샬롯 해먼드
박사 과정 학생
에든버러 대학교
,
에든버러, 영국
직접 방문
발표자
|
한국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이 한국을 점령한 아픈 기억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식민지 시대의 역사적 기억과 배상을 둘러싼 분쟁은 오늘날의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대 한국인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일제 강점기의 집단적 기억과 문화적 트라우마를 탐구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왜 과거가 현재를 계속 괴롭히는가, 그리고 다음 세대는 한국의 식민지 과거와 어떻게 매개하고 있는가? 이 글에서는 대중문화를 통해 역사적 폭력에 대한 기억과 트라우마가 세대를 넘어 전승되는 정도를 다루기 위해 식민지 과거가 스크린 미디어에서 어떻게 재현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합니다.
한국 드라마 경성 크리처(2023)와 투모로우(2022)의 문학 텍스트 분석을 통해 현대 한국에서 식민지 과거가 어떻게 인식되는지 알아본다. 드라마의 내러티브와 장르를 통해 식민지 시대의 트라우마와 기억이 초자연적 판타지와 공포라는 장르를 통해 어떻게 재현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텔레비전 드라마를 기억의 장소이자 트라우마와 기억의 전달을 매개하는 매개체로 간주할 것입니다. 최근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집중하여 한국의 현 세대가 식민지 시대의 기억과 유산을 어떻게 계승하고 구성하는지 살펴볼 것입니다. 일본의 한국 식민지 지배는 현재 한국인의 의식 속에 지속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그 이유에 대한 면밀한 고찰이 필요합니다.
샬롯 해먼드
박사 과정 학생
에든버러 대학교
,
에든버러, 영국
s2134741@ed.ac.uk
에든버러대학교 한국학 박사과정 2학년에 재학 중인 박사과정 학생. 스코틀랜드 한국학 센터 행정 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