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FC 환영 인사말
친애하는 영화 애호가 여러분, 그리고 한국 영화와 아시아 예술 팬 여러분,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하여 "예술과 기술: 잠, 꿈, 몸"이라는 주제로 풍부하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이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우리 영화제는 지난 몇 년 동안 캐나다 관객들에게 현대 영화를 형성하는 다양한 한국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명성을 얻었습니다. 우리는 성찰과 교류를 장려하는 혁신적인 공간에서 이러한 작품을 선보일 수 있는 파트너십을 개발했습니다. 올해는 또 다른 생각을 자극하고 즐거운 프로그램을 여러분과 공유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5월 22일부터 31일까지 꼭 참가해 주세요!

마리 보티, 이사회 구성원
안녕하세요,아시아예술연구소와 아트 이스트-웨스트가 주최하는 제11회 캐나다 한국영화제 2024는 한국과 아시아 예술을 캐나다 사회에 소개하고 국가 간 문화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문화행사입니다.

영화는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의미 있는 소통을 촉진하는 강력한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한국과 캐나다의 영화 교류는 양국의 문화, 역사, 사회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높이고 양국 국민 간의 깊은 우정과 상호 존중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영화제를 통해 관객들이 한국과 아시아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과 사회 현상을 탐구하고 한국 예술의 발전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가지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재완 주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국 대표부 대사/총영사
몬트리올 대학교 아시아 연구 센터는 제11회 캐나다 한국영화제를 지원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한국 영화 예술을 소개하는 이 연례 행사는 캐나다와 전 세계에 한국 문화의 활기를 강조합니다. 아시아 연구 센터와 몬트리올 대학교의 지원은 한국 및 아시아 연구 전반의 발전과 진흥에 대한 우리의 강한 의지를 반영합니다. 행사 주최 측의 헌신에 감사드리며, 모든 참가자들에게 멋진 한국영화제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가브리엘 포보,
아시아연구센터장 몬트리올대학교 아시아학센터장
예술적 실험, 연구 및 반성을 위한 예술의 중심지이자 이미지의 실용성과 실제 사회 활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지바오는 2024년 캐나다 영화제를 유치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하며 역동적인 팀에 의해 준비된 프로그램을 발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도 문화 조직은 서로 다른 커뮤니티에서 활발한 참여와 대화를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보유한 소중한 자원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두에게 즐거운 축제를 기원합니다!

프랑스 쇼니에르, 디렉션
아시아 영화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제11회 캐나다 한국영화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희 영화제는 창립 이래 아시아 미디어 예술의 다양하고 놀라운 성과를 선보이고 독특한 관점과 예술적 기량을 강조하는 데 전념해 왔습니다. 11회째를 맞이하는 올해도 아시아 영화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이 전통을 자랑스럽게 이어가고 있습니다.

스토리텔링과 문화 교류는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며, 우리 축제는 한인 캐나다인과 범아시아 캐나다인의 정체성에 대한 대화, 연결, 감상을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우리는 퀘벡에서 아시아 문화를 대표하는 등불로 남아 있습니다.

아시아 영화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에 빠져드는 이 영화적 여정에 동참하세요. 매력적인 내러티브부터 숨막히는 비주얼까지, 아시아 문화와 스토리텔링의 풍요로움을 기념하는 잊지 못할 경험을 약속드립니다.

헌신적인 팀, 재능 있는 영화 제작자, 스폰서, 파트너, 자원봉사자 그리고 무엇보다도 충성도 높은 관객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은 영화제의 성공에 필수적이며, 이 특별한 영화들을 여러분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11회 캐나다 한국영화제에 함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시아 영화의 마법을 함께 축하하는 상영, 이벤트 및 토론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빈센트 토이, 이사회 위원
캐나다 코레인 영화제(KFFC)가 솜마일, 레브, 코프스(Rêve, Corps)를 주제로 한 두 편의 법정 드라마 프로그램을 전체 규모에 걸쳐 대표되는 아시아의 맥락에서 상영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합니다: 아시아, 모옌-오리엔트, 엑스트라-오리엔트, 그리고 캐나다뿐만 아니라 유럽에 있는 디아스포라를 대표하는 아시아는 우리의 기술, 우리의 공동체, 우리의 영성, 우리의 공간에 대해 생각하는 다양한 목소리를 들려줄 것입니다.

Émigrant.e.s et immigrant.e.s n'étant (pas encore) (re)venu.e.s ou ayant quitté ces lieux (dé)laissés pour mieux rêver un avenir. 이러한 뜻을 풀이하기 위해 이 기술은 김인태(1967년, ONF) 시인의 시 '몽곡 바빌론'을 알파벳으로 번역했습니다; 몽곡 바빌론 (조지 포크), 설문애 (마이테 민 탐 마음 진놀린), 데 보신 당스 마 코트(엘리 장 타치), 어제 (엘미라 라키), 마쿠타이 영혼의 수 호자(엔 차오 린), 캐나다 공원(라잔 알살라), 이 명령의 매장 (제인 진 카이젠), Voyages dans nos Indes intérieures (다프네 르 세르장), 함께 가는 군대(춘화 캐서린 동), 4편의 영화 (나이스언티), 미즈시리 요리코의 애니메이션 불안한 몸과 애비 (패니 로드 부르시에) 등이 있습니다.

지난 6년간 한국과 캐나다의 관계를 이어온 6개의 영화제를 소개합니다. 이 문화적 나눔이 계속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키무라바이올 르모인, TTT (2024) 감독 / 아시아 단편 영화 프로그램 큐레이터
서울에서 태어나 프랑스에 입양되어 살면서 한인 디아스포라 중 제 작품이 소개된 것은 이번과 2년 전 인천 플랫폼에서 열린 전시회, 두 번뿐이었기 때문에 이번 페스티벌에 한국 작가와 영화감독의 작품과 함께 참여하게 되어 정말 자랑스럽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그 전시회는 <종이비행기>라는 제목으로 디아스포라 한인들의 예술 작품에 초점을 맞춘 전시였습니다. 우리 한인 입양인들은 입양된 나라의 국적으로만 인식되는 경우가 많거든요. 입양인으로서 느낀 점은, 입양인은 당연히 탁월함이나 성공을 제외하고는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전 문화부 장관 플뢰르 펠르랭과 유명 요리사 피에르 상 보이어가 입양인으로서 정체성보다 자신의 일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 입양인이라고 합니다. 이 성공 스토리는 여기서 끝날 수도 있고, 제 짧은 발표도 제 인생의 반복되는 주제인 질문을 던지지 않고 끝날 수도 있습니다. 당신은 어디에서 왔나요? 저는 항상 한국 얼굴 앞에서 이 질문을 받아왔습니다. 이 질문에는 항상 대답하고 싶은 마음이 들죠: 옆집에서 빵을 사러 왔는데 여권을 보여줄까요? 디아스포라 한인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때 기억의 근원을 온전히 찾을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입양인들은 한국에 도착하면 언어와 문화를 배우고, 친구 및 가족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등 제2의 입양이라고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쌓을 수 있습니다. 디아스포라의 한국인이 무언가를 되찾으려 한다면, 입양인은 무언가를 찾으려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여정이 시작되는 곳입니다.

다프네난 르 세르장, Voyages dans nos Indes intérieures 감독 (2019)
미정 씨와의 오랜 우정을 통해 KFFC를 오랫동안 알고 지냈는데, 예술적 취향이 좋은 영화들을 선별하고 독자적인 입지를 다지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고 점점 더 활기를 띠고 있는 것을 보니 반갑습니다. 제 극영화 '봄의 손길'이 이 영화제에서 상영되어 영광입니다. 매우 즐거운 경험이었습니다.
미정 씨가 제 다큐멘터리 '아버지의 여정'을 상영하기 위해 KFFC에 다시 초청해 주셨을 때, 저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영화이기 때문에 깊이 감사했고 가능한 한 많은 관객들이 이 영화를 보길 바랐습니다.

상영 후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제 영화와 다른 영화들을 KFFC에서 보러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좋은 영화에 분명 만족하실 겁니다.

허샤오단 감독, <내 아버지의 여정> (2020)
제11회 캐나다 한국영화제(KFFC)를 축하합니다! 올해 영화제에서 <고양이를 부탁해>(2001)가 상영된다는 소식을 듣고 정말 기뻤습니다. 영화 <고양이를 부탁해>(2001)는 새천년이 시작되던 2001년 '필름'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영화 매체의 한계로 인해 지금까지 상영이 어려웠습니다. 다행히도 서울국제여성영화제의 지원으로 2021년 개봉 20주년을 맞아 디지털 리마스터링 버전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고양이를 부탁해>(2001)는 제가 늘 꿈꿔왔던 대로 전 세계를 자유롭게 누비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목적지 중 하나가 캐나다 어딘가에 있다는 사실도 매우 기쁩니다. 발랄하고 상큼한 이 영화를 즐겨주시길 바랍니다.

정재은, <고양이를 부탁해>(2001) 감독
박스오피스 상위권 영화들을 제치고 캐나다 한국영화제에서 영화를 선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른 훌륭한 한국 영화들과 함께 제 영화를 통해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 정말 기쁩니다.

영화 산업이 규모와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지만, 비주류 영화가 다양한 관객을 만날 수 있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다양한 영화를 소개하려는 아트동네의 노력과 영화제를 지속하기 위한 관객들의 성원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두 세계의 예술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해주시는 여러분 한 분 한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국국제예술영화제를 통해 좋은 경험이 되길 바랍니다.

설수안,
씨앗의 시간 (2022) 감독
아트 이스트-웨스트의 캐나다 한국 영화제 2024(KFFC)가 이 놀라운 이정표를 달성한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제 영화 '예스터데이'가 이 권위 있는 행사에 선정되어 정말 영광입니다. 다양하고 매혹적인 라인업을 구성해 주신 주최 측의 노고와 헌신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동료 영화 제작자, 아티스트, 관객 여러분, 이 영화적 여정을 여러분과 공유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영감, 연결, 창의력으로 가득한 잊을 수 없는 영화제 경험을 기원합니다. 제11회 KFFC가 영향력 있고 잊을 수 없는 행사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예스터데이 (2023)엘미라 라키 감독

이아름,
다학제적
미디어 아티스트